생활 속 꿀팁35 분리과세 정의, 종합과세 차이 및 분리과세 가능금액 알아보기 재테크가 필수인 요즘, 돈을 많이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세법에 대해 알고 있어야 절세를 할 수 있고 또 새는 돈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을 통해 분리과세가 무엇인지 또 종합과세와의 어떤 점이 다른지 알아보고자 합니다. 끝까지 포스팅을 읽으시고 하나라도 얻어가시기 바랍니다. 분리과세란? 분리과세는 말 그대로 특정한 소득을 분리해서 별도로 과세하는 것을 말합니다. 여기서 과세라는 용어 정리를 해야 할 텐데요. 과세란 세금을 부과한다는 한자어입니다. 세금을 부과한다는 것은 소득이 있는 곳이라는 의미입니다. 먼저 소득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아래 포스팅을 클릭하셔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. 소득세법상의 소득 종류는? 우리 대부분은 직장인으로서 세금이 원천징수 돼 내 손에 들어오기에 세금에 대해서.. 2023. 11. 5. 소득세법상의 소득 종류는? 우리 대부분은 직장인으로서 세금이 원천징수 돼 내 손에 들어오기에 세금에 대해서는 무지한 경우가 많습니다. 하지만 재테크가 부각되고 있는 요즘 수입을 늘리는 만큼이나마 절세를 통한 세테크도 기본적으로 알아야 합니다. 이번 포스팅을 읽으시고 세법 기초를 이해하실 수 있게 소득세법상 소득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소득의 정의는 개인 또는 법인이라는 경제주체가 특정기간(1년) 동안 얻은 이익을 말합니다. 소득세는 벌어들인 소득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입니다. 소득에는 크게 종합소득, 퇴직소득, 양도소득 이 세 가지로 분류되며, 먼저 종합소득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종합소득 우리나라의 소득세법상 소득은 종합과세 방식입니다. 종합과세는 일정기간 동안 발생한 소득을 합산해서 과세, 즉 세금을 부과한.. 2023. 11. 4. 종합소득세 신고방법, 기간, 대상 알아보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종합소득세 신고방법, 신고기간, 신고대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포스팅을 끝까지 읽으시고 본인이 종합소득세 신고자에 해당되는지 잘 알아보시고 신고 기간 내에 신고하셔 가산세 부과 대상이 되지 않도록 반드시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.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수 있습니다. 신고기간 당해 1년 동안 종합소득금액이 있는 경우 다음 해 5월 1일부터 5월 31까지 자진하여 신고 납부해야 합니다. 성실신고대상자는 성실신고확인서를 제출하면 6월 30일까지 신고 납부해야 합니다. ☞ 종합소득세 신고시간 : 5월 1일 ~ 5월 31일 ☞ 성실신고 확인서 제출기간 : 5월 1일 ~ 6월 30일 또한 신고기간 내에 신고 납부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산세를 부과합니다. ☞ 무신.. 2023. 10. 21. 종합소득세, 세율 및 과세표준 알아보고 종합소득세 계산해보기 몇 년 전부터 부업 붐이 일어 직장을 다니면서 취미를 돈으로 연계해 수익을 얻는 사람들이 날로 늘어나고 있습니다. 직장에서 받은 월급을 제외하고 아르바이트 등 추가로 돈을 버는 사람들은 종합소득세 신고를 피할 수 없습니다. 이에 따라 이번 포스팅에서는 종합소득세 정의부터 세율 및 과세표준을 공부해 보고 종합소득세 계산까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종합소득세란? 지난 1년 동안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합해서 하나의 과세단위로 보고 과세하는 누진세를 말합니다. 소득으로는 근로소득, 사업소득, 이자소득, 배당소득, 연금소득, 기타소득 등 6가지를 하나의 과세단위 소득으로 보고 있으며 이 소득을 합한 금액에 세율이 차등으로 적용돼 세금이 부과되는 체계입니다. 세율 및 과세표준 세법이 개정되어 2023년부터는 최저 과.. 2023. 10. 16. 이전 1 2 3 4 5 6 7 ··· 9 다음